“넷제로 에너지시스템으로의 전환 다지기“
|
09:00 – 09:15
|
개회 및 환영사
- Gunnar Will
Senior Manager, adelphi
|
09:15 – 10:00
|
기조연설
-
Dr. Patrick Graichen
State Secretary, Federal Ministry for Economic Affairs and Climate Action (BMWK),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 차관
-
천영길 실장
한국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실
- 박경일
SK Ecoplant 대표이사
- 독일 산업계 대표 (미정)
|
10:00 – 10:45
|
“녹색 경제를 향한 길_에너지 전환의 경제적 기회”
패널토의:
패널:
- Dr. Eike Blume-Werry
Advisor Energy- and Climate Politics, The Federation of German Industries (BDI)
- Elena Cantos
Project Manager, Renewable Energy Agency
- 이상림 박사 , 에너지경제연구원
- 이성주 본부장, 에너지정책본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 변동민 실장 , 동서발전
|
10:45 – 11:15
|
커피 브레이크 & 네트워킹
|
주제세션: “넷제로를 위한 그린수소”
|
11:15 – 11:20
|
사회자의 인사
- Gunnar Will
Senior Manager, adelphi
|
11:20 - 12:45
|
“그린 리커버리 (Green Recovery)를 위한 청정수소 : 현황 및 산업분야 추진 사례”
좌장:
- Jana Narita
Manager, adelphi
|
11:20 - 12:00
|
발표
- 독일의 수소 정책 , Anton Hufnagl, Deputy Head of Division for climate and energy cooperation with industrialized Countries/ Hydrogen Initiatives,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
- 한국의 수소 정책 , 이혜진 팀장, H2KOREA
- 독일의 수소 프로젝트 추진사례 발표
Tim Heisterkamp
Head of Technology & Environmental Policy, Linde
- 한국의 수소 프로젝트 추진사례 발표 , 단희수 부사장, SK E&S
- 한국의 수소 프로젝트 추진사례 발표 , 문상진 상무, 두산 퓨얼셀
|
12:00 - 12:45
|
패널토의:
- Dr. Matthias Deutsch
Programme Lead Hydrogen, Agora Energiewende
- 독일 연방경제기후보호부
- 이혜진 팀장 , H2KOREA
- Tim Heisterkamp
Head of Technology & Environmental Policy, Linde
- 단희수 부사장 , SK E&S
-
문상진 상무, 두산 퓨어셀
|
12:45 – 14:15
|
네트워킹 런치
|
주제세션: 에너지효율– 잠자는 거인을 어떻게 깨울것인가?
|
14:15 – 14:30
|
사회자의 인사
- Gunnar Will
Senior Manager, adelphi
|
14:30 – 15:10
|
에너지효율 추진사례
좌장:
- Prof. Peter Radgen
IER, Stuttgart University
발표:
- 주제세션 소개 Prof. Peter Radgen, IER, Stuttgart University
-
한국 에너지효율추진사례 : MG-EMS 기반 전력계통 안정화 및 에너지 효율화 방안, 박종태 부장, 한전 KDN, 탄소중립처 스마트시티 사업부
독일 에너지효율 추진사례 , Dr. Manuel Unger, Project Lead Energy Services, Freudenberg Service KG
질의응답
|
15:10 – 15:30
|
커피 브레이크 & 네트워킹
|
15:30 – 16:30
|
에너지효율정책 및 정책 추진 효과
좌장 :
- Prof. Peter Radgen
IER, Stuttgart University
발표:
- 한국 에너지효율정책 , 김지효 박사,
에너지경제연구원
- 독일 에너지효율정책 , dena
패널토의:
- Dr. Stefan Thomas
Director, Energy, Transport and Climate Policy, Wuppertal Institute
-
김지효 박사 ,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탄소중립연구본부, Energy Demand Management Research Team
박종태 부장, KEPCO KDN Co.,Ltd
- Representative of Deutsche Energie Agentur (dena) (tbc)
|
16:30 – 16:45
|
행사 마무리
|
행사의 배경 및 주제 :
산업 기반의 경제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 독일은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윤곽을 잡는데에 비슷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양국은 에너지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현저히 줄이고자 하며,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려고 합니다. 또한 양국은 그린 수소를 미래 에너지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 보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는 현재 직면한 글로벌 에너지수급 불안 속에 넷제로 에너지시스템 추구가 가져올 기회와 도전과제에 대해 논의합니다.
한-독 에너지데이는 정부, 산업, 연구 및 시민사회 분야의 에너지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교환하고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는 플랫폼을 제공할 것입니다. 또한 이번 행사의 주안점은 한국과 독일 양국의 탄소중립 목표를 이루기 위해 도움이 될 기술들을 소개하는 데에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