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graphs
Content
bmwk_eng.jpg
logo_motie.jpg
logo_energiepartnerschaft_de-kor_rgb.png

제 5차 한-독 에너지데이

기후 및 에너지 위기 대응 : 해상풍력, 전력망 확장 그리고 디지털화의 역할

2023년 5월 26일, 09:30-17:00 KST

장소: 컨퍼런스 룸 104-105  Bexco, Busan, Korea
언어:  한-영 동시통역
사회자: 미정 ( 한국 측)

세션 1: “ 당면한 다양한 위기상황에서의 에너지 정책”

09:30 – 09:45

개회 및 환영사

  • 에너지경제연구원(KEEI), 양의석 부원장

  •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 권기영 원장

  • Dr. Martin Henkelmann, President & CEO, 한독상공회의소

09:45 – 10:30

기조연설

  • 천영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 실장

  • Peter Winkler, 주한 독일 부대사

  • 김민수 한국남부발전 전무

  • 홍성호 대표,  Country Managing Director, Siemens Energy Ltd. Korea &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Korea 

10:30 – 11:15

패널 토의 : 기후 위기와 에너지 안보: 두 도전과제를 위한 조화

패널 좌장: 김희집, 에너아이디어 대표, 서울대학교 교수

Panelists:

  • (한국 측) 김수이, 한국자원경제학회장, 홍익대학교 교수

  • (독일 측) Dr. Falk Bömeke, Head of Division (BMWK)

  • 김지언 신재생에너지/산업서비스 부문 팀장, TÜV SÜD Korea Ltd

  • 박민혁 한국전력공사(KEPCO) 센터장

11:15 – 11:35

커피브레이크 & 네트워킹

세션 2: “해상풍력 보급 확대 추진과 전력망의 역할”

11:35 – 11:40

사회자에 의한 세션 소개

11:40 – 11:50

한국과 독일의 재생에너지의 잠재력 

Jana Narita 독일 아델피(adelphi)

11:50 – 12:15

한국과 독일의 해상풍력 개발: 관련정책, 현황 및 전망 

  • 한국 해상풍력 개발 전략 및 향후 과제 “ – 최정철, 에너지기술평가원 풍력 PD, 한국 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

  • “독일의 해상풍력 – 현황과 전망”, Anton Hufnagl, Deputy Head of Division, 독일연방경제기후보호부, 과장대리

청중과 함께하는 Q&A 

12:15 – 13:05

패널 디스커션: 그리드 확장 및 최적화를 위한 과제와 해결책 

패널 좌장: 김범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풍력공학부 교수

Panelists:

  • 최덕환, 한국풍력산업협회 대외협력팀장

  • Janine Habethal, Senior Advisor for Political Affairs, TenneT

  • 한영수 한국전력 계통계획처 차장

  • David Jones, Head of Offshore Development & Country Manager RWE Renewables GmbH

13:05 – 14:20

네트워킹 런치

세션 3: “스마트그리드와 에너지 전환 지원을 위한 새로운 사업모델”

14:20 – 14:25

사회자의 인사말씀

14:25 – 14:50

한국과 독일의 스마트그리드 및 관련 서비스에 대한 규제 체계 및 현황 

  • 한국 스마트그리드 및 관련 서비스의 현황과 계획이창훈, 한국스마트그리드 사업단 사무국장

  • Dr. Alexander Bogensperger, Ffe München, " 독일 스마트그리드 및 관련 서비스 현황 및 규제 체계

청중과 함께하는 Q&A 

14:50 – 15:30

프로젝트/ 새 사업 모델 

  • 김진성 투파더 대표, “빅데이타를 활용한 에너지 플랫폼 서비스 개발 및 활용 계획

  • 박중성 한전 선임연구원, “시스템 유연성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그리드 기반의 에너지 서비스

  • Dr. Johanna Bronisch, Innovation Technologist, UnternehmerTUM „ 유럽최대의 entrepreneurship center 에서의 에너지전환의 가속화

청중과 함께하는 Q&A 

15:30 – 15:55

커피 브레이크

15:55 – 16:45

패널 디스커션: 유연성 서비스를 마케팅하고 필요한 가격 신호를 보내는 방법을 무엇일까?

  • 패널 좌장: 배성우 한양대 교수

  • 이상학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본부장

  • Dr. Alexander Bogensperger, Ffe München

  • 김진이 전력거래소 시장혁신처 팀장

16:45 – 17:00

행사 마무리 및 전망 

행사의 배경 주제:

전세계적인 에너지 위기상황을 맞아 고도로 산업화된  국가인 한국과 독일은  기후 위기에 대응해야 한다는 날로 커지는 압력과 급등하는 에너지가격 경색된 경제를 조화시켜야 할 필요에 직면해 있습니다.

재생에너지의 확대와 값비싼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 감소는 위 두가지 위기 해결을 위한 연결고리입니다. 해당 행사는 특히 전력망의 확장과,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전력망의 최적화 그리고 스마트그리드 새로운 디지털 사업모델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 에너지 데이는 정부부처, 산업계, 연구기관 그리고 시민사회의 에너지 전문가들이 의견을 교환하고 서로의 경험을 나누고 배울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행사의 핵심은 정책에 대해 논의하고, 한국과 독일의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 도움이 있는 현존 기술들을 소개하는 것입니다.